에너지 요금이 부담되는 요즘, 도시가스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놓칠 수 없겠죠?
바로 도시가스 캐시백을 활용하는 것입니다.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지나치지만, 신청만 하면 가스비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는 유용한 혜택입니다.
오늘은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, 최대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팁까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목차
도시가스 캐시백이란?
도시가스 캐시백은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동절기(12~3월) 동안 전년도 사용량보다 3%*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. (30% 한도, 10원 단위 절사)
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
도시가스 신청기간
📆 신청기간: 2024년 12월 1일 ~ 2025년 3월 31일 (4개월)
단, 23:30 ~ 00:30 은행 점검 시간에는 신청 불가
도시가스 신청 방법
1️⃣ 회원 가입 : 도시가스 캐시백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합니다.
2️⃣ 신청 메뉴 선택 : 로그인 후 캐시백 신청 메뉴로 이동합니다.
3️⃣ 정보 입력 : 계약자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량 조회를 승인합니다.
4️⃣ 신청서 제출 : 모든 정보를 확인한 후 신청서를 제출합니다.
5️⃣ 신청 완료 : 신청이 완료되면 확인 메시지를 받게 됩니다.
도시가스 신청 대상
‘주택난방용(개별난방/중앙난방)’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, 취사용은 제외됩니다.
단, 아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캐시백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✅ 지급 제외 대상
- 전출, 전입, 명의변경 등으로 인해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전체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
- 주택난방용 이외의 타용도 요금제(산업용, 업무난방용 등) 사용자
- 신청자(회원가입자)와 계약자 명의가 다르나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를 미제출한 사용자
-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를 잘못 기입하여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
-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으로 전환하여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 중 각 세대별 사용량 자료가 없는 경우
- 기타 사유로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
도시가스 캐시백 지급
도시가스 캐시백 지급 기준
전년 동기간 대비 3%* 이상 절감 시 절감율별 차등 지급하며, 절감율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 단가가 높아집니다.
절감율 | 3% 이상 10% 미만 | 10% 이상 20% 미만 | 20% 이상 30% 이하 |
캐시백 지급단가 | 50원/㎥ | 100원/㎥ | 200원/㎥ |
✅ 절감기간: 2024년 12월 ~ 2025년 3월 (2025년 1월 ~ 2025년 4월 고지서 발행분)
✅ 비교기간: 2023년 12월 ~ 2024년 3월 (2024년 1월 ~ 2024년 4월 고지서 발행분)
도시가스 캐시백 계산 방법
12월 ~ 3월 사용량에 대하여 1월 ~ 4월 고지서로 절감량 계산(부피 단위)
비교기간 | 2023년 12월 | 2024년 1월 | 2024년 2월 | 2024년 3월 | 합계 |
사용량(㎥) | 100 | 100 | 100 | 100 | 400 |
절감기간 | 2024년 12월 | 2025년 1월 | 2025년 2월 | 2025년 3월 | 합계 |
사용량(㎥) | 80 | 90 | 90 | 80 | 340 |
비교기간 사용량(400㎥), 절감기간 사용량(340㎥), 절감량(60㎥)
절감률 = 60/400 = 15%
캐시백 금액 = 60( ㎥) x 100(원/㎥) = 6,000원
도시가스 캐시백 지급일
도시가스 캐시백 지급 방식
신청이 승인되면 캐시백이 지급됩니다. 보통 아래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로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현금 환급: 본인 명의 계좌로 입금
✅ 차월 요금 감면: 다음 달 도시가스 요금에서 차감 적용
도시가스 캐시백은 신청만 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좋은 제도입니다. 지금 바로 자신이 대상자인지 확인하고, 신청을 진행해 보세요!
조금의 노력으로도 가스비를 절약하고, 생활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난방비 아끼는 법 10가지 총정리! 겨울철 난방비 폭탄 주의하세요
겨울이 성큼 다가와 날씨가 너무 추워졌습니다. 추워진 날씨에 다들 난방을 시작하셨을 것 같은데요. 추운 날씨에 어쩔 수 없이 보일러를 켰지만 자연스럽게 난방비 걱정도 하게됩니다. 하지만
100.my-trace-story.com
2025년 4월 축제일정 봄꽃축제 벚꽃축제 가볼만한 곳 TOP6
벚꽃이 만개하는 4월, 따뜻한 햇살 아래에서 가족, 연인, 친구와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고 싶지 않으신가요? 봄바람을 맞으며 향긋한 꽃내음을 즐기고, 다양한 지역 축제에서 맛있는 음식
100.my-trace-story.com
'생활정보 > 정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방법 총정리 모바일 신분증 전국에서 발급 가능해요! (1) | 2025.03.15 |
---|---|
탄소중립 실천포인트제 홈페이지 신청방법 적립 및 환급 총정리 (6) | 2025.03.14 |
2025년 저소득층에너지효율개선사업 에어컨 지원금 신청 방법 총정리 한국에너지재단 (0) | 2025.03.13 |
폐가전제품무상수거 서비스 폐가전무료수거 품목 신청방법 소형가전도 무료로! (2) | 2025.03.12 |
예술활동지원금시스템 신청방법 기간 신청자격 총정리 최대 300만원 지원! (2) | 2025.03.11 |
댓글